반응형

미국 5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2.14

연말 랠리 여부를 결정하는 첫 번째 관문인 11월 CPI 결과는 모두 예상보다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전일 미국 증시 장중 상승 반납폭 현상이 시사하듯이 시장은 이제 12월 FOMC를 기다리며 과도한 포지션 베팅은 자제하는 중이다. 또 11월 CPI 품목 중에서 주거비(6.9%→7.1%), 렌트료(7.5%→7.9%) 등 부동산 관련 품목들의 물가가 되려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도 인플레이션 고착화 문제와 관련해 시장의 고민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12월 FOMC에서 50bp(1bp=0.01%포인트) 인상은 기정사실이다. 관건은 점도표다. 2023년 최종금리 레벨과 지속 기간(Higher for longer)에 연말 랠리 여부가 달려있다. 최종금리 예상치는 CPI 발표 이후 5.25%에서 5.0%로 내..

Money/Economy 2022.12.14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2.08

경기침체 가능성에 시장이 경계감을 나타난 가운데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7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58포인트(0.00%) 오른 3만3597.92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7.34포인트(0.19%) 내린 3933.92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56.34포인트(0.51%) 내린 1만958.55로 장을 마쳤다. 국채 금리는 하락했다. 이날 3.533%로 출발한 10년물 국채금리 수익률은 3.417%로 하락했다. 이날 시장은 경기 침체 공포와 푸틴 대통령의 핵무기 발언에 주목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이 경제 지표상 침체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잇따라 지적해 투자자들은 다음주 예정된 CPI 지표와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세로 돌아섰다. 웰스파고의 아즈하르 이크발은 보고서에서 “모..

Money/Economy 2022.12.08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1.30

시장이 숨을 고르며 경제 상황을 살피는 가운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3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29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3.07포인트(0.01%) 오른 3만3852.53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6.31포인트(0.16%) 내린 3957.63으로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65.72포인트(0.59%) 내린 1만983.78로 장을 마쳤다. 국채 금리는 상승했다. 이날 3.685%로 출발한 10년물 국채금리 수익률은 3.754%로 상승했다. 애플 2% 하락, 여행·에너지주 강세 이날 주요 종목들은 엇갈린 움직임을 보였다. 애플이 2.12% 하락한 가운데, 테슬라와 아마존은 각각 1.15%, 1.63% 내렸다.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도 각각 0.90%, 0.60% 하락했다. ..

Money/Economy 2022.11.30

월가 "12월 증시 산타랠리 예상"..."내년 상반기는 힘들 것"

미국의 11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된 이후 시장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환(피벗 Pivot)' 기대감이 확산되는 가운데 연말 산타 랠리에 베팅하는 월가 전문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24일(현지시간) CNBC는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11월 FOMC 의사록 공개 이후 연준이 빠른 시일 내에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기대감이 증시 분위기를 개선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동안 증시를 압박하던 악재가 모두 소멸된 것은 아니다"면서 "미국 증시가 내년 상반기에는 기업 실적 부진 리스크에 흔들리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CNBC에 따르면 투자정보업체 T3 라이브 닷컴의 최고전략책임자(CSO) 스콧 레들러(Scott Redler)는 11월 FOMC 의사록 ..

Money/미국주식 2022.11.25

오늘 주식 시장 하락 원인 정리

금일 시장 하락 트리거가된 이슈 정리 1. 노드스트림 1,2 파이프라인 폭발, 러시아 테러 가능성 재기 2. 푸틴 핵 버튼 누르나… 미국, 감시 강화 '예의주시 (장 시작 전 기사이지만 10시반부터 빠르게 퍼짐) 3. 영국발 금융위기(?), 파운드화 약세 4. 애플 증산 계획 철회 블룸버그 보도 제임스 불라드(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 발언 요약 1. 미국은 지금 심각한 인플레이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2. 1970년대 처럼 되면 안된다. - 역주 : 당시 심각한 인플레이션 때문에 볼커가 금리를 무지막지하게 올려서 경제를 파탄내면서 인플레이션을 잡았음 3. 노동시장이 매우 견고하기 때문에 인플레에 더 빠르게 대처가 가능하다. (금리 올리겠다.) 4. 향후 FOMC를 통해 더 많은 금리인상이 있을 예정이다..

Money/미국주식 2022.09.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