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랠리 여부를 결정하는 첫 번째 관문인 11월 CPI 결과는 모두 예상보다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전일 미국 증시 장중 상승 반납폭 현상이 시사하듯이 시장은 이제 12월 FOMC를 기다리며 과도한 포지션 베팅은 자제하는 중이다.
또 11월 CPI 품목 중에서 주거비(6.9%→7.1%), 렌트료(7.5%→7.9%) 등 부동산 관련 품목들의 물가가 되려 오름세를 보였다는 점도 인플레이션 고착화 문제와 관련해 시장의 고민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12월 FOMC에서 50bp(1bp=0.01%포인트) 인상은 기정사실이다. 관건은 점도표다. 2023년 최종금리 레벨과 지속 기간(Higher for longer)에 연말 랠리 여부가 달려있다.
최종금리 예상치는 CPI 발표 이후 5.25%에서 5.0%로 내려왔다. 최근의 정황들을 고려하면 12월 FOMC가 증시 중립 이하의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은 작다고 판단한다. 또 과거 패턴 상 FOMC 이후 1~2 거래일 후 증시에서 진짜 반응이 나왔기에, FOMC 결과를 확인하고 사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현명하다.
[굿모닝 증시]美 CPI는 호재, FOMC 경계감, 틱톡 금지법은 악재
인플레 둔화에 증시↑..."내일 파월의 입 주목"[뉴욕마감](종합)
'인플레 둔화세'에 美증시↑..."매파적 불확실성 제거" [뉴욕마감]
美 물가 예상 하회…환율, 1200원대 재진입[외환브리핑]
11월 CPI 7.1% 예상하회…나스닥 3%대 상승출발 [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뉴욕증시, 물가둔화 소식에 상승…'메시' 아르헨 결승 선착 [모닝브리핑]
'월가 전설' 하워드 막스 "美 증시, 역사상 세번째로 큰 대격변 직면할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071339?cds=news_media_pc
“집 안 팔려 이사 못 가요”... 전국 아파트 입주율 60% 그쳐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862194?cds=news_media_pc
혼인신고 미뤄가며 마통·전세대출까지 받아 집 사던 그들…2030 영끌족이 사라졌다 [부동산360]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077969?cds=news_media_pc
가짜 육아휴직에 가짜 백수까지…줄줄 샌 고용보험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14398?cds=news_media_pc
유니티, '테크 스트림' 최신버전 출시…"피드백 반영이 우선"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41787?cds=news_media_pc
'Money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2.16 (0) | 2022.12.16 |
---|---|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2.15 (0) | 2022.12.15 |
'1천 채' 넘는 빌라 소유주 사망, 전세보증금 어쩌나 (0) | 2022.12.12 |
"이번 주 50bp 금리인상 유력…그 전날 CPI를 보라" [월가시각] (0) | 2022.12.12 |
오늘의 경제 뉴스 모아보기 22.12.12 (0) | 2022.12.12 |